오늘은 흥행열풍을 몰고있는 영화 파묘 감상 후기로 줄거리 요약과 파묘에서 놓치고 넘어가기 쉬운 숨겨진 뜻과 결말 해석 총 정리 본으로 이 포스팅에는 스포일러가 첨부되어있음을 미리 안내드립니다. 보지않으신분은 이글을 보시지않는걸 추천드립니다.
2024년 2월 22일 개봉한 한국 영화. 수상한 묘를 이장한 풍수사와 장의사, 무속인들에게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을 담은 오컬트 미스터리 장르이다.
《검은 사제들》, 《사바하》 등 퇴마, 오컬트 장르를 고집해 온 장재현 감독의 세 번째 장편 영화이다.
2월 22일은 파묘의 개봉일로, 이는 무궁화인 우리나라의 국화로 알려진 날입니다. 무궁화는 우리나라의 상징적인 꽃으로, 우리 민족의 힘과 불굴의 정신을 상징합니다.
사주 오행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목에 속하고, 일본은 금에 속합니다. 이는 각 나라의 특성과 역사적 배경을 나타내는데, 파묘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통해 두 나라 간의 대립과 갈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나무(木)는 흙(土)을 파고들고,
흙(土)은 물(水)의 흐름을 막고,
물(水)은 불(火)을 꺼 버리고,
불(火)은 쇠(金)를 녹이고,
쇠(金)는 나무(木)를 다치게 합니다.
보국사는 나라를 지킨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이를 지키던 개가 진돗개로 나타납니다. 진돗개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개종으로, 충성과 용감함을 상징합니다.
더플라자 호텔은 과거에 지천사가 위치했던 곳으로, 팔만대장경을 잠시 보관한 곳이기도 합니다. 또한, 3.1운동이 일어난 장소로서 역사적인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장례지도사 영근의 가게 이름인 "의열장의사"는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 단체인 의열단을 연상시킵니다. 이는 독립운동가들의 투쟁과 희생을 상징하며, 영화의 주제와 관련된 상징적인 요소입니다.
100원 동전에 있는 이순신 장군의 얼굴은 임진왜란때 일본을 상대로 한 우리나라의 승리와 영웅적인 모습을 상징합니다.
영화 속에는 주인공들의 차량 번호가 나오는데, 이 번호들에 숨은 의미가 숨겨져있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도깨비는 말피를 무서워하는데, 이는 영화에서 백마의 피가 나오는 장면과 연관됩니다. 이는 이육사의 시에서도 나오는 문구인 "백마타고 온 초인"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화림이 나무 뒤에서 우리 땅이라고 외치는 장면은 우리 조상들의 모습과 우리 땅을 지키는 의지를 상징합니다. 이는 역사적인 배경과 현재의 상황을 연결 짓고자 하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친일파의 자식들이 굉장한 부잣집에서 살고 있고, 쇠말뚝을 뽑으러 다니던 조상님들, 그리고 보국사가 낡고 흩어진 상태로 나타나는 것은 영화가 우리나라 역사의 어두운 면을 다루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친일파와 독립운동가 후손들의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과거 역사의 상처와 현재의 현실을 연결 짓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설정은 영화의 주제와 메시지를 강조하며, 관객들에게 역사적인 깨달음을 전달하는 데 기여합니다.
파묘에 나오는 친일파는 이완용을 모티브로 하였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의뢰인의 할아버지는 친일파였고, 부끄러운 정체를 감추기 위해 관을 열지 말고 관채로 태워달라고 요구한 것입니다.
실제로 대표적인 친일파인 이완용의 묘자리는 증손주에 의해 파묘되었다고 하는데요. 이완용은 도굴과 파손을 염려하여 묫자리를 전라북도 익산군 낭산면 낭산리의 산골짜기 깊은 곳으로 선택했습니다. 하지만 워낙 대표적이고 악랄한 친일파 인물이다보니 계속해서 훼묘 사건이 일어났죠.
끊이지 않는 훼묘 사건으로 증손자인 이석형은 1979년 파묘 후 유골을 꺼내 화장하고 인근 장암천에 뿌렸다고 합니다.
사람 여자 얼굴 모양의 뱀은 일본 요괴인 '누레온나'입니다. 장재현 감독에 따르면 누레온나를 건드리자마자 비가 오고, 이 뱀이 영화의 트리거 역할을 하여 방향성을 잡아주는 장치로 쓰였다고 합니다.
매국노에게 묫자리를 알려준 일본인 풍수사 '기순애'는 일본어 여우와 비슷한 발음인 '키츠네'를 의미한다는 해석이 있습니다. 관이 열린 후 나오는 일본어 대사는 "키츠네가 범의 허리를 끊었다"입니다. 키츠네=기순애, 범=우리나라, 허리=태백산맥 이라고 치환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 일본 장수가 적에게 목이 날아갔는데, 그의 몸통에 그가 쓰던 불이 붙었던 칼을 집어 넣은 후 날아간 머리를 다시 이어 붙여 그 요괴를 만든 것입니다. 칼을 집어 넣은 그 몸통에 갑옷을 입혀 관에 넣은 후 철조망을 쳐 세로로 땅 속에 집어 넣은 거죠.
그 요괴의 몸통 자체가 쇠말뚝이었던 거죠. 그걸 세로로 심어서 말뚝으로 박아 놓은 것입니다. 이를 알아차린 상덕에게 요괴가 다가와 그의 복부를 손으로 찌릅니다. 이 때 화림이 말피가 담긴 물통을 요괴에게 부어버리고, 상근이 말피에 젖어있는 나무로 요괴의 어깨를 칩니다. 어찌된 일인지 철로 된 곡괭이로 치면 찍히지 않지만, 피에 젖은 나무로는 요괴가 쉽게 베어집니다.
여기서의 해석은 음양오행이 필요합니다. 물과 불은 상극이고, 쇠의 상극은 나무입니다. 그러니까 '말피(물)가 묻은 나무'와 '불에 탄 칼(쇠)'은 상극이라 서로 해하는 것이지죠. 그렇게 상덕은 회심의 한 방을 날리고 요괴를 물리칩니다.
(이하, 영화 파묘의 해피 엔딩 결말 부분은 생략)
영화 파묘 줄거리 결말 해석 숨은 의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단순히 으스스한 오컬트 영화인줄 알았는데 항일 영화로서의 메세지를 던지는 인상깊은 영화네요. 더욱 더 흥행하길 바랍니다.